본문 바로가기
목표설정 및 생활습관 가이드

구체적인 목표설정(모두에게 적용되는 보편적이고 쉬운방법)

by 동기부여하는 도토리 2024. 4. 6.
반응형

모두에게 적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
모두에게 적용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

 

이 방법은

모두에게 적용이 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제대로 받아들인다면

우리는

두뇌의 최대 능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목표 달성을 위한

새로운 신경 회로를 만드는

필수적인 부분을 설명하겠습니다

 

목표가 중요하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목표를 세우는 것에는

정말 많은 의견과 조언들이 있죠

 

이 포스팅을 끝까지 3번 이상 읽으신다면

여러분은 달성할 확률이 90%나 더 높은

목표를 세우는 법을 알게 될 겁니다

 

뇌과학 분야 세계 최고의 멘토이자

스탠퍼드 대학의 교수인 앤드루 후보만

그는 얼마 전 자신의 팟캐스트에서

목표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가장 효율적이고 성취율이 높은

목표 설정의 비밀을 공유했습니다

 

목표설정의 비밀
목표설정의 비밀

 

어떻게 목표를 세워야

두뇌의 각성 반응을 일으켜서

가장 효율적으로

그리고 빠르게 목표를 이룰지를 공유하며

동시에 목표 설정에 대해서

모두가 잘못 알고 있던 부분들도

모두 낱낱이 파헤쳤습니다

 

앤드루 후보만은

먼저 두뇌에 대해서 이해를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목표를 세우는 과정에서

우리의 두뇌가

어떤 방법으로 신호를 보내는지 알아야

목표를 세우고, 또 바꿔가며

성취하게 된다고 해요

 

그리고 실제로

우리는 모두

목표를 세울 때

두뇌의 같은 부분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그러니 이 방법은

모두에게 적용이 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죠

 

여러분은 목표를 어떻게 세우시나요?

앤드루만이 제시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말씀드리자면

 

목표설정 방법
목표설정 방법

 

 

한 번에 하나만의 목표를 세워야 하고

그 목표의 크기는

현재 자신이 이루기 어렵다고 생각하는

그런 큰 목표를 세워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이유와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을 해드릴게요

 

첫 번째! 하나의 목표만을 세워야 하는 이유!!

 

이를 말하기에 앞서

대부분이 새해가 되면

이루고 싶은 여러 가지 목표를 정하잖아요?

이렇게 한 번에 많은 목표를 세우는 걸

오버홀(Overhaul) 접근법이라고 하는데

이 접근법은 하나에 집중되어 있지 않기에

성취 확률이 낮아지고

오랫동안 유지가 어려운

목표 설정법이라고 합니다

 

많은 목표를 성취하려는 마음은

작심삼일을 위한 목표이지

오랜 기간 유지가 가능한 목표는 아니니까요

 

그러면 어떻게

한 가지의 목표만을 정할 수 있을까요?

앤드루 후보만 교수가 말한

가장 중요한!

하나의 목표를 정하는!

가장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종이와 펜을 꺼내서

원하는 모든 목표를 적어본 후

덜 중요해 보이는 목표를 하나씩 지워보는 겁니다

 

그리고 여러분이 차마 지우지 못 대해서

마지막에 남게 되는

그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라고

앤드루 후보만은 조언합니다

 

마지막 한가지 목표
마지막 한가지 목표

 

 

두 번째!

목표를 세울 때

우리가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더 큰 목표를 세워야 합니다

이에 대한 근거로

두뇌 과학의 연구 결과를 제시해드릴께요

 

만약 목표를 세울 때

너무 낮은 목표 성취

즉, 불 보듯 뻔한 목표를 세우면

우리의 두뇌 중 편도체에서

변화의 충분한 각성 상태를

만들지 않는다고 해요

 

이 각성 상태가 중요한 이유는

두뇌가 각성하였을 때

우리는 불편함을 느끼고

그 불편함은

두뇌의 새로운 화학작용을 만든다고 합니다

그리고 그 화학작용은

새로운 신경회로를 생성하게 되죠

 

그렇게 일정 기간이 지나면

결국 우리는

그 불편함을 익숙하게 받아들이며

우리가 생각했던

자신의 한계를 넘어서게 됩니다

 

이처럼 예상보다 큰 목표를 향해

약간의 두려움을 가지고 나아갈 때

우리는 두뇌의

최대 능력치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약간의 두려움을 주는 큰 목표 설정
약간의 두려움을 주는 큰 목표 설정

 

 

그리고 앤드루 후보만은 이렇게 말하죠

자신이 정한 큰 목표를 보고

약간의 두려움과

긴장한 자신을 느끼면

목표성취의 과정 중에

좌절할 상황이 있을 것을 알게 되죠

 

이렇게 이미 인지한 상태에서

좌절의 상황이 온다면

우리는 그 상황을

단지 두려움이 아닌

목표 달성을 위한

새로운 신경 회로를 만드는

필수적인 부분이라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렇게 두려움을 이겨내면

결국 목표를 이루게 되고

좌절감을

목표로 가는 하나의 과정으로 받아들이게 되면서

과거였다면 포기했을 그 순간에

오히려 새로운 신경회로가

학습되고 있다는 걸 느낄 거예요

 

그렇게 되면

원하는 목표나 성공을 이루는 건

당신이 가진 하나의 습관이 될 겁니다

앤드루 후보만은

이처럼 생리학적으로 목표 설정을 이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숙제라고 말합니다

두뇌가 생리학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알게 되는 순간

우리는 속임수에 휘둘리지 않고

선택권이 생기니까요

 

그럼 그의 조언대로

우리를 두렵게 만드는

한 가지 목표를 정했다면

다음은 어떻게 행동 계획을 세워야 할까요?

 

바로 그 목표를

동사형 문장으로 바꾸는 겁니다

이 부분이

목표 달성 확률을 높이고

동기부여를 꾸준하게 지속하게 만들거든요

 

목표달성률을 높이는 확실한 동기부여
목표달성률을 높이는 확실한 동기부여

 

쉽게 말하자면

좋은 몸을 만들어야겠다 혹은

영어 공부를 더 많이 해야겠다가 아니라...

 

그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행동을 생각해 보고

스케줄에 넣는 거죠

예를 들자면

“나는 일주일에 세 번 헬스장에 갈 거고

매번 60분씩 운동을 할 거야

쉬는 시간을 제외하고

적어도 50분은 운동을 해야겠다”

 

만약 공부가 목적이라면

운동 때와 동일하게

일주일에 몇 시간을 공부할 건지

그리고 그 시간을 하루 단위로 나누고

무슨 요일에 공부할 것인지를

목표로 정하고

행동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해요

 

그리고 그렇게 계획한 행동을 지속하는 주기는

12주 단위로 정하라고 하죠

그 이유는

이렇게 3개월 단위로 정하는 것이

중간 공휴일이나

특별한 날들이 겹치더라도

가장 효율적으로

지속 가능하게 만들면서

동시에 너무 길지도 너무 짧지도 않은

시간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정말 중요한 부분은

직접 종이에 적으셔야 한다는 겁니다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앤드루 후보만의 메시지를 정리하자면

 

목표를 정할 땐

자신을 조금 두렵게 만드는

한 가지 큰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동사용 문장으로 바꾼 후에

시간을 나눠서 자신의 스케줄에 넣는 겁니다

그리고 그 행동을 3개월 동안 해보는 거죠

 

지난 100년 동안

목표에 대한 많은 자기계발서가 나왔습니다

그리고 많은 사람의

큰 변화를 이끌었던 책들은

모두 하나같이

두 가지의 중요성을 말하고 있어요

바로 명확성과 측정할 수 있는 여부입니다

 

이미 두뇌 과학으로 검증된

연구 결과이기도 하죠

 

앤드루 후보만은 말합니다

과정을 즐기세요!!

목표에 연결된 행동을 하며

동기부여를 받는 것이

가장 강력하고 오래도록

지속 가능한 방법입니다

 

많은 분들이

검증된, 두뇌 최적화된 목표 설정 방법으로

각자의 목표를 세워 보시고

실천하시고

성공하시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

현재 습관에 따라 미래는 바뀔수 있어요

---------------------------------------------------------------------------------------

이런내용도 분명 도움되실꺼에요

구체적으로 목표를 설정하는 쉬운방법(OKR방법)

---------------------------------------------------------------------------------------

반응형